본문 바로가기
  • 모여, 생산적 잉여를 도모하다.
이야기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 ::: 열린 정원 Ideas of the Garden in Our Times

by 이야기맨 2014. 3. 11.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 ::: 열린 정원 Ideas of the Garden in Our Times




정원은 사적인 공간이라고 생각한다. 정원이라고 하면 가진 사람가 규모있는 저택을 떠올린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나와 별 관계없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최근 정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정원은 거리, 음식점, 오피스빌딩, 아파트단지 같이 일상 공간에서 만날 수 있고, 정원박람회가 도시적 차원에서 개최되고 있다. 정원이 집의 경계를 넘어 도시로 확장되고 있다. 정원이 사적인 공간을 넘어 사회적, 시대적으로 재조명되고 있는 것이다. 도시와 정원은 모두 순식간에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완성되는 것으로 동시대 사람들이 공유하는 '기억의 집적체'이기 때문이 아닐까.


우리는 지구 반대편의 정보가 순식간에 우리에게 전달되고, 소비는 망설임의 시간을 허락하지 않는 시대에 살고 있다. 모든 것이 찰나이고, 중요한 것은 결과이다. 욕망은 스펙타클한 사회를 원한다. 그러나 현대인들은 스펙터클하지만 사유화되고 사업화되어가는 도시공간에 정을 붙이지 못한다. 현대 도시에서 유료화 되지 않은 정붙일일만한 장소로서도 정원은 소중하다. 그런 의미에서 '정원은 인간이 인간다울 수 있도록 소양을 배양하는 장'이라는 로버트 포그 해리슨의 정의는 현대도시에서 정원의 지평을 넓혀주는 하나의 관점이다. 역사적으로도 정원은 대회를 통해 사회성을 함양하는 교육공간이었다. 15세기의 도시국가 피렌체는 예술과 문화가 만개한 정원에 비유된다. 여기서 도시는 토론과 자질을 함양하는 열린 정원이고, 시민들은 정원사에 비유된다. 정원이 스펙타클 사회를 벗어나게 해 줄 대안이 될 수 있다.


이런 시대적 고민과 가치를 담기에 조경계획 각론에서 다루고 있는 '정원계획'은 너무 규범적이다. '열린 정원'은 이런 시대적 고민과 가치를 담기에 조경계획 각론에서 다루는 규범적인 '정원계획' 포섭되지 않는 개념이다. 법적 시설로도 규정되지 않는 공간이다. 우리 시대가 담아야할 '열린 정원'은 한 개의 단일한 초점이 아닐 것이다. 우리가 고민해야 할 '열린 정원'은 설계자의 자의식을 투영되어 자랑하는 공간이 아닐 것이다.


우리 시대의 정원은 어떤 모습인가? 또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가? 우리 시대의 정원을 고민하는 것은 동시대 조경가들의 의무일 것이다. 



-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 2013 열린정원 수상작 -



카테고리

수많은 초점이 있는 열린 정원은 다양한 규모와 다양한 대상지가 다뤄질 수 있다. 열린 정원은 '대규모 (Large scale)'일 수도 있고, '작지만 다양한 장소 (several small)' 일 수도 있으며, 이 두 가지 모두일 수도 있다. 작은 규모의 대상지를 다루더라도 그 안에서 큰 생각이나 이슈를 다룰 수 있고, 대규모 대상지를 다루더라도 그 안의 미시적 기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카테고리1 - 작은 규모의 대상지, 큰 생각 (Small Scale, Big idea or Big Issue)

카테고리2 - 대규모 대상지, 미시적 접근 (Big Scale, Micro View or Micro Analysis)



-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 2013 열린정원 수상작 -



출품부문

1. 설계 부분 (Design)

주제와 관련된 개념과 프로그램, 대상지 해석과 논리적인 과정을 통한 계획안 도출, 이런 과정이 압축적으로 표현된 계획안을 패널에 표현.


2. 계획 / 연구와 탐색 부문 (Planning & Design Research & Exploration)

구체적인 계획 설계안으로 제시되지 않더라도 새로운 조경설계 영역과 대상의 발굴, 진지하고 흥미로운 대상지 분석과 해석, 개념 도출, 디자인 전략이나 프로그램 제안을 패널에 표현


3. 유의사항

- 출품자는 두 가지 카테고리와 두 가지 공모 부문 가운데 출품 분야를 명기하여 제출해야 함.

- 디자인 리서치와 탐색 부문은 조사와 해석 접근 방법과 이론적 틀이 체계적이며 이해하기 쉽도록 표현되어야 하며, 객관적 자료를 근거로 해야 하고, 도판 구성은 설계 부분과 마찬가지로 시각적인 프로세스의 형식을 갖춰 표현하여야 함.



-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 2013 열린정원 수상작 -


-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 2013 열린정원 수상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