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모여, 생산적 잉여를 도모하다.
이야기

소설추천 : '왜교성을 품은 달빛청춘'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6. 9. 11.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왜교성을 품은 달빛청춘

 

역사학자 E.H.카에 따르면

역사란 '과거와 현재의 대화'이다.

즉, 객관적인 사실만 나열하기 보다는

과거의 사실을 반추하여

현재의 상황을 이해하고

이러한 연속적인 과정을 통해

보다 발전적인 미래를 준비하자는 것이다.

역사에 역사가의 주관적인 생각이 들어간다면

결국 우리가 알고 있는 많은 역사들은

승자의 역사라고 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고려의 마지막 왕 공민왕의 경우

과연 정말로 동성애를 즐기고 통치력을 잃은 무능한 왕이었을까?

고려가 부패했고 공민왕이 덕이 부족한 왕이었기 떄문에

그것을 더 이상 보고만 있을 수는 없어

새로운 나라 조선을 만들었다는

신진사대부들의 그럴싸한 명분을 위해

승자들의 관점에서 만들어진 이야기는 아닐까.

 

거북선은 누가 만들었냐는 질문에

보통 이순신 장군이라는 대답을 많이 한다.

하지만 따지보 보면

거북선을 직접 두드리며 만든건

수많은 노역자들 즉 민초였다.

전쟁이 터지면 징집되어

가족들과 생이별을 하고

전장으로 향했던 그들이었다.

 

전쟁이라는 깜깜한 어둠 속에서

이순신 장군이 반짝반짝 빛날 수 있었던 건

빛을 내지는 못하지만

묵묵히 자신들의 자리를 지키고 있는

수많은 민초들이 있었기 떄문이었으리라.

 

얼마 전 출간된

'왜교성을 품은 달빛 청춘'은

영웅이나 승자의 입장 보다

버려지고 내팽겨쳐진 민초들의 입장에서 바라 본

전쟁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그 피터지는 두 전쟁의 격전지

순천왜교성에서

그들이 얼마나 힘겹고 고통스럽게

터전을 지켜냈는지,

그리고 얼마나 가슴 아프게

아픔을 묵살당했는지 전하며

지금을 살아가는 우리의 모습이 대해

묻고 있다.

 

 

개인의 욕망에 의해 상처받고 힘없이 쓰러지지만

이내 다시 일어서고 또 일어서는 민초들의 이야기를 통해

그들의 애환과 지혜를 알아갈 수 있는 역사소설

'왜교성을 품은 달빛청춘'

한국, 중국, 일본의 복잡한 정세에 얽혀

21세기를 새롭게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꼭 필요한 책이라고 생각한다.